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Stranger's LAB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Stranger's LAB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Stranger's LAB

프로그래밍과 관련하여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를 풀어보고,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해해 볼 수 있도록 돕고자 만든 블로그 입니다.

프로그래밍 기초

  • Stranger's LAB
메모리 구조 [Memory Structure]

메모리 구조 [Memory Structure]

2021.01.31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목에서 밝혔듯 메모리 구조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흔히 메모리라고 하면 RAM을 지칭하는데요, 보통 컴퓨터 구조에 대해 학습하시거나 배우셨던 분들은 알겠지만 메모리의 종류는 많아도 엄청 많은 걸 알고 있을 겁니다. 그만큼 컴퓨터에서는 매우 중요한 부품 중 하나죠. 컴퓨터 구조에 대해 전반적으로 다루려고 하면 내용이 너무 많아지기 때문에 오늘은 메모리에 대해 우리가 코딩한 것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왜 그러면 다른 것들도 많은데 메모리냐! CPU나 명령어 셋이 더 중요하지 않냐! 라고 하실 수도 있겠지만, 틀린 말은 아니더라도 메모리도 매우 중요하다고 봅니다. 특히 알고리즘 문제를 많이 풀어본 분들은 알겠지만, 한정된 자원 안에서 효율적으로 프로그램이 실행 될 수..
2진수의 수와 음수 표현법 [1의 보수와 2의 보수]

2진수의 수와 음수 표현법 [1의 보수와 2의 보수]

2021.01.01
안녕하세요. 오늘은 프로그래밍이 아닌 컴퓨터의 연산에 대해 이해해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흔히 프로그래밍을 할 때는 그나마 사람에 가까운 언어로 된 고급언어들로 작성을 하지만 실제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대해 이해하고 작동하는 방식에 대해는 잘 알려고 하지는 않죠. 그래서 이 번에는 컴퓨터의 기본 연산 중 가장 혼돈하기 쉽고 잘 못 배우면 어렵게 느껴지는 2진수의 표현법. 그 중 특히 보수(補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만약 직전 포스팅인 '프로그래밍 언어와 빌드 과정'을 보셨다면 우리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고급언어들로 작성한 소스코드들은 결과적으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번역된다고 했죠. 간단한 이유이지만, 컴퓨터는 근본적으로 0과 1밖에 모르기 때문입니다. 좀 더 직관적으로 말하자면 전기..
프로그래밍 언어와 빌드 과정 [Build Process]

프로그래밍 언어와 빌드 과정 [Build Process]

2020.11.27
안녕하세요. 제가 이 시리즈를 작성할 때 처음 계획했던 것이 있습니다. 최소한의 프로그래밍언어에 대한 작성 방법은 알고 있다는 전제하에 프로그래밍 전반에 관한 내용을 다뤄본다고 했죠. 어떤 특정 언어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아닌지라 이제 막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분들은 조금은 이해하긴 어려울지라도 최소한 C, C++, Java 중 하나 이상을 알면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계획한 것이 여러분이 코드를 실행파일로 만들기 까지의 과정중 기초적 뼈대를 이해하기 위해 크게 3가지로 나눴는데요. 먼저 우리가 작성하는 코드에서의 기본적인 문법의 기본 구조를 알아보았고, 기본 구조를 토대로 전체적인 프로그래밍 작성 구조를 알아보았죠. 즉, 우리가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을 배울 때 먼저 ..
객체지향(OOP)과 절차적 프로그래밍(PP)

객체지향(OOP)과 절차적 프로그래밍(PP)

2020.10.24
오늘은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ming)과 절차적 프로그래밍(Procedure Programming)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대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를 처음 마주하고 학습하면서 점점 익숙하다 싶을 쯤에 몇 부분에서 장벽을 마주하게 되죠. 보통 '객체'라는 개념에 대해 처음 마주하면 많은 분들이 어려워합니다. 특히 자바의 경우 '객체지향 언어'라고 수없이 들었지만 왜 객체지향인지 모르고 배우는 경우가 다반사죠. 그러다가 '객체'라는 것을 배우기 시작하면 이제 멘탈이 나가기 시작합니다. 이런일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이 어떤 언어를 배우건 거의다 초기에는 절차적인 방식으로 코드를 짜고 배웁니다. 예로들어 대표적 객체지향 언어..
프로그래밍 언어의 단어와 문법 - 2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의 단어와 문법 - 2 [프로그래밍]

2020.10.24
안녕하세요. ST_ 입니다. 저번에는 프로그래밍에 대한 간단한 정의와 수식, 키워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절차'를 설명해보도록 하죠. 절차는 기본적으로 읽는 순서를 의미합니다. 대부분 위에서 아래로 읽는 것은 알지만 한 줄에서 나열되었을 경우 어디서부터 시작하는지 헷갈려 하는 분들도 꽤나 많은 것 같습니다. 특히 C언어를 배우다가 Java나 C#, Swift를 배우기 시작했을 때 많이 생소하게 느껴지기도 하죠. C언어 같은 경우는 한 줄에 한 동작을 실행하도록 코딩하며 그렇게 코딩하도록 권장하고 있는 반면에 위의 언어들은 여러 동작을 하나로 묶을 수 있죠. 이는 객체지향 언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입니다. 절차에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키워드 나열'과 '함수(메소드) 연결'이 있습니다. ..
프로그래밍 언어의 단어와 문법 - 1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의 단어와 문법 - 1 [프로그래밍]

2020.10.24
⦁ 들어가기 앞서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 때 8월부터 매 달 1~2편씩 프로그래밍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다뤄본다고 했는데 드디어 첫 포스팅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제 블로그의 포스팅을 보셨던 분들은 알겠지만 말투가 많이 달라 어색할 수도 있을 텐데, 이번 계획 의도가 프로그래밍을 배우시는데 잘 이해가 되지 않거나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시리즈에 한정하여 말투를 조금 바꿔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필자가 주변 분들에게 프로그래밍을 접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을 물어봤더니 대체로 "어떻게 짜야하는지 모르겠다" 나 프로그래밍 언어 자체를 어려웠다는 것이 가장 많더군요. 어쩌면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이해와 로직(logic)을 구성하는 것이 생소하다가 맞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에 프..
  • 최신
    • 1
  • 다음

정보

Stranger's LAB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Stranger's LAB

  • Stranger's LAB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나의 외부 링크

  • st-github

공지사항

  • 공지 - 블로그 사용 설명서

메뉴

  • 홈
  • 방명록

카테고리

  • 전체 카테고리 (267)
    • Java (5)
    • JAVA - 백준 [BAEK JOON] (177)
      • 입출력과 사칙연산 (14)
      • 조건문 (7)
      • 반복문 (11)
      • 1차원 배열 (7)
      • 함수 (3)
      • 문자열 (10)
      • 기본 수학 1 (8)
      • 기본 수학 2 (6)
      • 2차원 배열 (0)
      • 정렬 (10)
      • 재귀 (4)
      • 브루트 포스 (5)
      • 집합과 맵 (0)
      • 기하 1 (5)
      • 정수론 및 조합론 (12)
      • 백트래킹 (8)
      • 동적 계획법 1 (15)
      • 누적 합 (0)
      • 그리디 알고리즘 (5)
      • 스택 (5)
      • 큐, 덱 (7)
      • 분할 정복 (9)
      • 이분 탐색 (7)
      • 기타 문제 (17)
      • 별 찍기 문제 모음 (2)
    • C++ - 백준 [BAEK JOON] (46)
      • 입출력과 사칙연산 (14)
      • 조건문 (7)
      • 반복문 (11)
      • 1차원 배열 (7)
      • 함수 (3)
      • 문자열 (0)
      • 기타 문제 (4)
    • 자료구조 (18)
      • Java (18)
    • 알고리즘 (11)
      • Java (11)
    • 프로그래밍 기초 (6)
    • 이모저모 (2)
    • 일상의 글 (2)

최근 글

정보

ST_의 Stranger's LAB

Stranger's LAB

ST_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네이버 이웃 맺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Copyright © ST_.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