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Stranger's LAB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Stranger's LAB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Stranger's LAB

프로그래밍과 관련하여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를 풀어보고,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해해 볼 수 있도록 돕고자 만든 블로그 입니다.

[백준] 2523번 : 별 찍기 - 13 - JAVA [자바]

  • 2020.03.13 19:17
  • JAVA - 백준 [BAEK JOON]/기타 문제
글 작성자: ST_
728x90



https://www.acmicpc.net/problem/2523

 

2523번: 별 찍기 - 13

첫째 줄부터 2×N-1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www.acmicpc.net






  • 문제





 

문제를 유추해서 별을 찍으라고 한다.

 

딱히 유추할 것도 없이 보면, 숫자 N 을 입력받으면 N 까지 별을 1개씩 늘려가며 별을 찍고, 그 이후부턴 1개씩 줄여가면 찍으면 된다.






  • 3가지 풀이방법을 제시한다.

 

 

Scanner 로 입력받아 연산하는 방법과 BufferedReader 로 입력받아 연산하는 방법, 두 가지 방법을 통해 풀이해보고자 한다.

또한 BufferedReader 에서 출력방법을 바꿔보며 어느 방법이 시간을 더 단축 시킬 수 있는지 한 번 보고자 한다.






  • 알고리즘



먼저 N 이라는 숫자가 주어진다.

 

1 행부터 N 행까지 출력을 하기 위한 가장 큰 틀의 반복문을 먼저 구상한다.

for ( int i = 1; i <= N; i++)



그리고 출력을 보면 공백이 1 행에 1개 출력, 2행에 2개 출력, ...

즉, n 번째 행에는 n개의 별이 출력된다.

 



고로, 위의 for문 안에 for문 ( 이중for문 ) 을 작성해본다면 아래와 같을 것이다.

for ( int i = 1 ; i <= N ; i++ ){
	for( int j = 0 ; j < i ; j++ ) {
		print("*");
	}
}

 

즉, i 번째 행에 i 개만큼 출력해주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는 각 행의 출력이 끝나면 개행(줄바꿈)을 해주어야 한다.

for ( int i = 1; i <= N; i++ ){
	for( int j = 0; j < i; j++ ) {
		print("*");
	}
	print('\n');
}



 


그러면 1 부터 N 행까지의 별 출력을 했으니 N+1 행부터 2N-1 행까지 출력도 짜야한다.

 

N+1 행의 별의 개수는 N-1 개가 되고, N+2 행의 별의 개수는 N-2 개가 된다.

즉 앞선 for문이 끝나고 새로 시작되는 for문을 i 행이라 할 때, i 의 첫 행은 N-1 이 된다.

for (int i = 1; i <= N; i++){	// 1 ~ N 행
	for(int j = 0; j < i; j++) {
		print("*");
	}
	print('\n');
}

for (int i = N-1; i > 0; i--){	// N+1 ~ 2N-1 행
}

 

그렇기에 i 의 처음 초기값을 N-1 로 해주고 조건은 i 가 0 보다 클 때 까지만 반복하며 i 를 1개씩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리고서는 i 자체가 행의 별의 개수가 되기 때문에 이중 for 문을 통해 i 의 값만큼 반복해서 출력해주면 된다.

즉, 아래와 같이 짜면 된다.

for (int i = 1; i <= N; i++){	// 1 ~ N 행
	for(int j = 0; j < i; j++) {
		print("*");
	}
	print('\n');
}

for (int i = N-1; i > 0; i--){	// N+1 ~ 2N-1 행
	for(int j = 0; j < i; j++) {
		print("*");
	}
	print('\n');
}



 


그럼 본격적으로 전체 코드를 보자.

 




  • 풀이



- 방법 1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int N = in.nextInt();

		for (int i = 1; i <= N; i++) {	// 1 ~ N
			for (int j = 0; j < i; j++) {
				System.out.print("*");
			}
			System.out.println();
		}

		for (int i = N - 1; i > 0; i--) {	// N+1 ~ 2N-1
			for (int j = 0; j < i; j++) {
				System.out.print("*");
			}
			System.out.println();
		}

	}

}

 


그리고 반드시 이중 for 문 내부에 print() 를 써야한다. 무의식적으로 println() 을 쓰면 당연히 틀린다.







- 방법 2 

 


BufferedReader 을 쓰는 방식이다.

 

그리고 반드시 자료형 타입을 잘 보아야 한다.

br.readLine() 은 문자열로 데이터를 읽으니 반드시 꺼내서 쓸 때 int 형으로 쓰고자 한다면 Integer.parseInt()로 String 을 int 형으로 변환시켜준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for (int i = 1; i <= N; i++) {	// 1 ~ N
			for (int j = 0; j < i; j++) {
				System.out.print("*");
			}
			System.out.println();
		}

		for (int i = N - 1; i > 0; i--) {	// N+1 ~ 2N-1
			for (int j = 0; j < i; j++) {
				System.out.print("*");
			}
			System.out.println();
		}

	}

}



위 코드를 실행하면 물론 Scanner 보다 BufferedReader 가 속도가 빠르니 시간이 단축되지만 출력 부분에서 System.out.print() 를 너무 자주 호출해주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좀 더 시간을 절약해볼 방법을 알아보자. 







- 방법 3


다음 방법은 StringBuilder 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기본 입력은 BufferedReader 을 쓰되, System.out.print() 메소드를 너무 자주 출력하면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그래서 StringBuilder 을 통해 모든 문자열을 하나의 객체에 연결해준다음 출력을 하려 한다. 마지막에 한 번만 해주니 시간을 아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 (int i = 1; i <= N; i++) {	// 1 ~ N
			for (int j = 0; j < i; j++) {
				sb.append('*');
			}
			sb.append('\n');
		}

		for (int i = N - 1; i > 0; i--) {	// N+1 ~ 2N-1
			for (int j = 0; j < i; j++) {
				sb.append('*');
			}
			sb.append('\n');
		}

		System.out.println(sb);

	}

}




 




  • 성능 차이



 


위에서 부터 순서대로

 

채점 번호 : 18399610  -  BufferedReader + StringBuilder 

채점 번호 : 18399602 -  BufferedReader + System.out.print

채점 번호 : 18399588 -  Scanner + System.out.print

 

 

 

시간을 보면 BufferedReader 와 Scanner 의 성능차이 및 출력 방법에 따른 성능 차이 또한 볼 수 있다.







  • 정리



보면 아주 단순한 문제다.

 

사실 저 for 문도 사용자가 짜기 나름이라 꼭 필자의 코드가 정답이라 할 수도 없다.

다만,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최대한 간결하게 짜려고 할 뿐이니 독자들이 코드를 보고 이해한다면야 자유롭게 짜도 무방하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JAVA - 백준 [BAEK JOON] > 기타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0996번 : 별 찍기 - 21 - JAVA [자바]  (2) 2020.03.15
[백준] 2446번 : 별 찍기 - 9 - JAVA [자바]  (6) 2020.03.13
[백준] 10039번 : 평균 점수 - JAVA [자바]  (0) 2020.03.13
[백준] 5543번 : 상근날드 - JAVA [자바]  (0) 2020.03.04
[백준] 2577번 : 숫자의 개수 - JAVA [자바]  (36) 2020.02.28

댓글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백준] 10996번 : 별 찍기 - 21 - JAVA [자바]

    [백준] 10996번 : 별 찍기 - 21 - JAVA [자바]

    2020.03.15
  • [백준] 2446번 : 별 찍기 - 9 - JAVA [자바]

    [백준] 2446번 : 별 찍기 - 9 - JAVA [자바]

    2020.03.13
  • [백준] 10039번 : 평균 점수 - JAVA [자바]

    [백준] 10039번 : 평균 점수 - JAVA [자바]

    2020.03.13
  • [백준] 5543번 : 상근날드 - JAVA [자바]

    [백준] 5543번 : 상근날드 - JAVA [자바]

    2020.03.04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Stranger's LAB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Stranger's LAB

  • Stranger's LAB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나의 외부 링크

  • st-github

공지사항

  • 공지 - 블로그 사용 설명서

메뉴

  • 홈
  • 방명록

카테고리

  • 전체 카테고리 (267)
    • Java (5)
    • JAVA - 백준 [BAEK JOON] (177)
      • 입출력과 사칙연산 (14)
      • 조건문 (7)
      • 반복문 (11)
      • 1차원 배열 (7)
      • 함수 (3)
      • 문자열 (10)
      • 기본 수학 1 (8)
      • 기본 수학 2 (6)
      • 2차원 배열 (0)
      • 정렬 (10)
      • 재귀 (4)
      • 브루트 포스 (5)
      • 집합과 맵 (0)
      • 기하 1 (5)
      • 정수론 및 조합론 (12)
      • 백트래킹 (8)
      • 동적 계획법 1 (15)
      • 누적 합 (0)
      • 그리디 알고리즘 (5)
      • 스택 (5)
      • 큐, 덱 (7)
      • 분할 정복 (9)
      • 이분 탐색 (7)
      • 기타 문제 (17)
      • 별 찍기 문제 모음 (2)
    • C++ - 백준 [BAEK JOON] (46)
      • 입출력과 사칙연산 (14)
      • 조건문 (7)
      • 반복문 (11)
      • 1차원 배열 (7)
      • 함수 (3)
      • 문자열 (0)
      • 기타 문제 (4)
    • 자료구조 (18)
      • Java (18)
    • 알고리즘 (11)
      • Java (11)
    • 프로그래밍 기초 (6)
    • 이모저모 (2)
    • 일상의 글 (2)

최근 글

정보

ST_의 Stranger's LAB

Stranger's LAB

ST_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네이버 이웃 맺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Copyright © ST_.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