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사용 설명서
@github : kdgyun
@E-mail : stlab.strangers@gmail.com
안녕하세요. ST입니다.
블로그를 시작한지 벌써 약 1년 6개월이 지나버린 시점에 제가 늦게나마..(너무 늦었지만) 제 블로그를 처음 오시는 분들을 위해 제 블로그 소개를 하고자 합니다.
아무래도 어떤 글들이 어디에 있는지 찾기 어려우실 수도 있고, 뭐하는 블로그인지 궁금하실 수도 있어 이렇게 적어봅니다 :)
Intro. 블로그 소개
일단, 블로그 이름부터 설명드려야 겠네요.
정식 명칭까지는 아니지만, 제 블로그 이름은 "Stranger's lab" 입니다.
블로그의 주요 내용은 알고리즘, 자료구조, 그 외 프로그래밍에 도움이 될 법한 사소한 것들이 주를 이루며, 아직까진 Java언어와 C++언어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 추후 어느정도 정리가 된다면 Python 이나 코틀린을 다뤄볼까 합니다.
블로그 이름에 대해 좀 더 이야기를 하자면 stranger 이 단어가 여러 의미가 있지만, 저는 '이방인'이라고 생각하고 네이밍 한 것입니다.
저도 마찬가지지만 많은 분들이 프로그래밍 분야에 처음 접하게 될 때가 프로그래밍에 대해 하나도 모른채 컴퓨터 관련 전공에 진학을 한다던가, 취업을 준비하면서 프로그래밍 분야를 처음 접한다거나, 흥미가 있어서 접하게 되는 등 다양한 경로로 소프트웨어 분야를 접하셨을 겁니다.
(요즘은 소프트웨어 의무교육을 하다보니 낯설지 않을 수도 있겠네요)
아무래도 국어, 수학, 영어, 과학, 사회 등 입시 중심의 교과과정을 거쳐오다보니 처음으로 파이썬, C, Java 같은 언어를 접하게 되면 다른 분야보다 매우 낯설게 느꼈을 겁니다. 저만 그랬던 건 아니겠죠..?
저도 그랬던 시절이 있었고, 무엇보다 요즘들어 워낙 IT시장이 급변하다보니 어떤 것을 새로 배우거나 새로운 기술이 나올 때 마다 제 자신이 이방인인 것 처럼 보였습니다.
비단 이러한 느낌은 저 뿐만이 아닐 것 같아 이방인이 가장 적합하지 않았나 싶었습니다.
이 것이 제 블로그 이름의 실체(?)입니다 :)
Purpose. 개설 목적
만약 제가 10만뷰 감사 인사를 드린 글을 보셨다면 아실 수도 있겠지만 사실 처음 개설 목적 자체는 없었습니다...
예전부터 블로그를 해보고 싶다고 막연하게 생각했었고, 제 성격상 일단 해보고 보자는 스타일이라 일단 개설해놓고 그 다음에 주제를 잡았습니다.
제 블로그를 방문하신 분들은 바로 감이 오시겠지만 제 블로그의 주제는 주로 알고리즘, 자료구조, 그 외 프로그래밍에 도움이 될만한 작은 내용들이 주를 이룹니다. 특히나 알고리즘 문제 풀이가 가장 중심입니다.
주제와 별개로 목적도 설명드려야겠죠?
누구나 쉽게 문제를 이해하고 풀이할 수 있도록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을 공유하자라는 것이 주 목적이자 목표입니다 :)
제가 포스팅 하는 글의 내용들 모두 과거의 여러 프로그래머, 수학자 등 뛰어나신 분들의 연구를 통해 누적 되어온 지식을 우리가 손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많은 과정을 거쳐온 지식의 결정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즉, 저 또한 그런 분들의 지식을 사용하는 한 사용자에 불구 할 뿐이죠. 그렇기에 수익을 목표로 하지 않아 광고 또한 가장 작고 글을 읽는데에 몰입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글 상단에 단 하나만 배치했습니다. 이 방침은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겁니다 :)
저 또한 문제를 풀면서 아이디어가 안떠오르거나 그럴 때마다 뛰어나신 많은 블로거, 커뮤니티 등을 통해 배울 때도 많은만큼 제가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조금 더 이해하기 쉽게 풀어쓰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저도 사람이고 모든 분야에 능통한 사람이 아닌지라 실수 할 때도 있고 잘못 된 내용을 적었던 것들도 있었고, 아마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만큼 작은 오타부터 오개념에 대한 지적에 대해 정말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오히려 제 블로그는 그런 분들로 인해 좀 더 완성도있는 내용을 갖는 블로그가 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
View. 카테고리 보기
제 블로그의 카테고리에 대한 설명도 필요하겠죠?
하나씩 설명을 할 것이라 처음 오신 분들은 유용할 듯 싶습니다 :)
다른 카테고리와 중첩되지 않는 자바 언어와 관련되거나 자바언어를 중심으로 설명되는 글들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백준 온라인 저지 사이트의 문제들을 Java로 풀이한 글들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단계별로 풀어보기를 중심으로 풀이하고 있습니다 :)
백준 온라인 저지 사이트의 문제들을 C++로 풀이한 글들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단계별로 풀어보기를 중심으로 풀이하고 있습니다 :)
참고로 Java보다 늦게 시작해서 Java로 풀이한 것보다 상대적으로 적을겁니다.
말 그대로 자료구조에 대한 글, 정확히는 자료구조를 구현하는 글이 여기에 포스팅 됩니다 :)
알고리즘 문제 풀이가 아닌 알고리즘에 대한 내용들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그 예로 정렬 알고리즘 등이 있습니다.
프로그래밍을 어느정도 접하고 이해하기 시작한 분들을 위해 개괄적으로 좀 더 이해를 돕기 위한 글들이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기초가 기초가 아닌 느낌적인 느낌..)
뭔가 약간 애매한 글들이 여기에 들어가 있습니다. 주로 프로그래밍을 하는데 알아도 크게 쓸모가 없는...? 잡다한 지식을 공유하기 위한 카테고리 입니다 :)
일상의 글이라고 하긴 하지만 제가 일기를 쓰거나 하진 않고 가끔가다 공지로 올릴 건 아니고 제 블로그를 보시는 분들과 이야기를 하기 위한 카테고리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여담으로 지금은 방문자 10만 감사 글밖에 없는데, 사실은 그 전에 글 하나를 작성하고 있었습니다. 바로 windows와 macos의 비교를 하는 글이었는데... 하필 그 때 애플이 아키텍쳐 대전환을 했던지라 버려진 글이 되어버린 비운의 비공개 글이 존재합니다.
HtU. how to use (feat. 블로그 규칙)
1. 제가 올린 코드들의 활용은 자유롭게 활용하셔도 됩니다. 단, 알고리즘 문제(특히 백준 알고리즘 문제 풀이 코드)의 경우 복붙 제출은 하시면 안됩니다. 치팅은 백준 이용규칙에도 명시되어있기 때문에 이로인한 본인의 이용제한은 저는 책임드리지 않으니 주의해주시길 바랍니다.
제가 코드 스크롤을 막아놓지 않은 이유는 여러분들이 코드를 보시고 이해하신 뒤 자유롭게 변형 및 활용을 하시라는 의미에서 열어둔 것이니 코드 자체는 자유롭게 활용은 가능합니다!
백준 이용 규칙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이용 규칙
블로그 블로그에는 지속적으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다음과 같은 글을 올릴 수 있습니다. 아래는 예시이며 아래 적히지 않은 내용도 가능합니다. 알고리즘/자료구조 튜토리얼문제에 종속적이지
www.acmicpc.net
2. 제가 올린 코드를 포함한 타 출처가 적혀지지 않은 이미지들 모두 자유롭게 활용이 가능하나, 본인의 글이나 첨부 자료로 활용 할 경우 반드시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이는 저작권 문제도 있지만, 이미지를 퍼가고 올리는데에 몇 분이 걸릴지 몰라도 제가 그 이미지를 만들기위해 투자되는 시간은 매우 큽니다. 이미지를 출처도 안남기고 그냥 복사해서 올리는 것은 지양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상호 존중을 해줍시다 :)
3. 댓글은 자유롭게 남겨주셔도 됩니다. 단 비방, 욕설, 차별 등을 포함한 '상호 간 존중'이 없는 댓글은 예고없이 삭제합니다.
그리고 티스토리 블로그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에겐 중요한 점이 있는데, 티스토리 블로그의 댓글의 경우 로그인을 하지 않고 비공개 댓글을 남기실 경우에는 댓글을 쓴 본인 또한 보실 수 없으며, 제가 비공개 답글을 남기고 싶어도 여러분이 제 댓글을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로그인 사용자의 비공개 댓글의 경우 그에 대한 답글은 모두 공개로 달아드리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공개 댓글로 답변을 받고 싶은 경우 티스토리에 로그인을 하시고 비공개 댓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그리고 근래 스팸, 광고 댓글도 종종 보이는지라 제가 하나하나 관리하기가 힘들어 승인 형식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조금 불편하시더라도 양해부탁드립니다. 제가 최대한 빠르게 댓글에 대해 답변드리려고 노력은 하지만 개인 일정도 소화하면서 매 시간마다 댓글을 보고 답변드리기는 물리적으로 몸이 여러 개가 아닌 이상 한계가 있습니다. 아무리 늦어도 2일 내로는 답변드리려고 노력하고 있으니 양해 부탁드려요 :)
4. 제가 블로그에서 풀이하고 있는 소스코드들 대부분은 깃허브에 업로드하고 있습니다.
깃허브에 올라가는 코드들 중 일부는 좀 더 내용이 추가되거나 효율적인 방식으로 변경되는 등 일부 변형되는 것들이 있을 수 있으나, 기존 포스팅 내용에서 설명하고 있는 글과는 크게 구조상 다르지는 않을겁니다. 혹시 깃허브에 올라간 코드에 대해 궁금한 부분은 제 이메일로 질문을 드려도 괜찮습니다.
마치며... 감사 인사의 말
솔직히 처음 시작했을 때 사실 제 블로그가 이렇게 잘 될 줄은 몰랐습니다.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시고 많은 댓글과 하트를 남겨주셔서 정말 감사 할 따름입니다.
저 또한 부족한 면이 많고, 분명히 틀린 부분들도 있을 겁니다. 글 쓰는 능력도 부족한지라 오타도 잦은데 이렇게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방문해주셔서 저 또한 최대한 정확한 내용을 전달하려고 더욱 긴장하고 노력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또한 이러한 부분에 대해 짚어주신 분들에게도 정말 감사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저도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새로운 내용들도 많이 접하고 다른 분들의 지적을 통해 배우는 점들도 많기에 지적은 언제든 환영합니다.
목표가 있다면 실제로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방법들도 다루고 싶지만, 지금 당장은 알고리즘 및 자료구조에 집중하려 합니다.
알고리즘, 자료구조 같은 실무와는 동떨어진 주제들일 수도 있지만 많은 분들이 한 번쯤은 거쳐가는 관문이기도 하고 이 부분에서 벽을 느끼고 좌절 혹은 흥미를 잃어버리는 케이스가 많은만큼 많은 분들이 좀 더 쉽게 다가 올 수 있도록 하는데 집중을 하는게 맞다고 저는 판단했습니다.
아직 먼 얘기이기는 하지만, 만약 알고리즘과 자료구조에 대해 더 다룰 내용이 없다고 판단했을 땐, 좀 더 새로운 내용들을 갖고오도록 하겠습니다.
부족한 제 블로그를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일상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누적 방문자 10만명.. 정말 감사드립니다. (18) | 2021.02.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