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Stranger's LAB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Stranger's LAB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Stranger's LAB

프로그래밍과 관련하여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를 풀어보고,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해해 볼 수 있도록 돕고자 만든 블로그 입니다.

[백준] 10430 번 : 나머지 - JAVA [자바]

  • 2020.02.09 01:55
  • JAVA - 백준 [BAEK JOON]/입출력과 사칙연산
글 작성자: ST_
728x90




https://www.acmicpc.net/problem/10430

 

10430번: 나머지

첫째 줄에 A, B, C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2 ≤ A, B, C ≤ 10000)

www.acmicpc.net



 




  • 문제

 

 

 

 

 

매우 간단한 문제다!

 

 

※ 주의할점

  1. 입력은 공백단위로 구분 된다.
  2. 나머지를 구하는 문제라 변수를 정수형으로 계산한다.

 

 


 

  • 풀이하기 전에 ...  모듈러 연산 ( Modular Arithmetic ) 과 증명

 

위 문제에서 그냥 출력만 하고 땡이지! 라고 하기에는 너무 아까운 문제다.

 

모듈러 연산이라고 들어보셨는지 모르겠다. ( 아마 대부분 배웠지 않았을까..? )

갑자기 모듈러 연산이라고? 라고 한다면 나머지와 관련된 연산식이 바로 모듈러 연산이다.

 

우리는 프로그래밍에서 대부분 나머지 연산 할 때 %로 표기하며 아래와 같이 표현한다.

17 % 3 = 2




이 것을 일반 표기법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다.

17 mod 3 = 2



이제 표현 방법을 알았으니 왜 언급했는지 알려주겠다.

 

문제에서 총 4개의 케이스가 나왔다.

  1. (A+B) %C 
  2. (A%C + B%C)%C 
  3. (A*B)%C 
  4. (A%C * B%C)%C 

만약 이 문제를 풀어보신 분들을 알겠지만 컴파일 하여 자연수의 어떤 값이던 넣어보면 1번식과 2번식의 값이 같고, 3번식과 4번식의 값이 같다.

이는 모듈러 연산의 대표적 속성 두 가지를 보여주고 있다.

 

증명 방법을 보고 싶다면 아래 더 보기를 클릭하면 된다.

 



[증명 1] : (A+B) %C = (A%C + B%C)%C 

더보기

[증명]


증명 과정 자체는 매우 간단하다.

 


위 공식대로 풀면 되는데 하나하나 설명해보겠다.

먼저 a 와 b에 대해 c로 나눈 나머지 값을 mod 로 표현하여 정의한다. (이때 T 와 S 는 a 와 b 의 나머지다)

 

그럼 a와 b에 대하여 식을 변형 할 수 있는데 그게 바로 아래와 같은 것이다.

 

 

그럼 저 두 식을 갖고 우리가 증명하려는 식에 대입해보고 식을 정리해보자. 

 

 

 

위 식에서 느낌이 오는가?

c = 0 이 아닌 이상 ( i + j )*c 는 0 또는 3의 배수다.  

 

이 말은 i 와 j 의 값에 상관 없이 c의 배수이기 때문에 ( i + j )*c mod c = 0 이다.

즉 나머지 연산에서 ( T + S ) 의 나머지에 대하여 ( i + j )*c 는 위 식의 나머지 값에 대햐여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그리고 T 와 S 는 처음 정의했듯이 각 각 a mod c 와 b mod c 이므로 이들로 교체해주면 우리가 증명하고자 한 공식이 완성된다.

 

 

증명 완료



 

[증명2] : (A*B)%C = (A%C * B%C)%C 

 

더보기

[증명2]

이 공식도 1번 증명 방법이랑 유사하다.

 

 

따로 하나하나 설명하지는 않겠다. ( 증명 1 을 이해한다면 이 것도 이해가 될 것이다. )

 

마찬가지로 곱셈을 풀어준 뒤 c 로 묶인 것들은 나머지 값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생략해주면 위 같이 공식이 성립함을 볼 수 있다.

 

 

 

 

 

 




  • 2가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풀이한다.

 

 

Scanner 로 입력받아 연산하는 방법과 BufferedReader 로 입력받아 연산하는 방법, 두 가지 방법을 통해 풀이해보고자 한다.

 

위 방법은 앞서 포스팅에서도 언급했으니 만약 쓰는 방법을 모른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https://st-lab.tistory.com/12

 

[백준] 1000번 : A+B - JAVA [자바]

https://www.acmicpc.net/problem/1000 1000번: A+B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출력 첫째 줄에 A+B를 출력..

st-lab.tistory.com

 

 

 

※Scanner 와 BufferedReader 의 입력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면 아래 링크의 포스팅을 보면 된다.

https://st-lab.tistory.com/41

 

JAVA [자바] - 입력 뜯어보기 [Scanner, InputStream, BufferedReader]

이 글을 지금 이 시점에 써야 할까 고민을 많이 했다. 사실 자바를 그냥 다룰 줄만 아는 것에 목표를 둔다면 이 글이 무의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자바에 대해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고 더 배우고 싶은 분들도 있겠..

st-lab.tistory.com

 

 




  • 풀이



- 방법 1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int A = in.nextInt();
		int B = in.nextInt();
		int C = in.nextInt();

		in.close();

		System.out.println( (A+B)%C );
		System.out.println( (A%C + B%C)%C );
		System.out.println( (A*B)%C );
		System.out.println( (A%C * B%C)%C );
		
	}

}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Scanner 자체가 성능이 좋진 않으므로 필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쓴다.

 

 


 

- 방법 2 

 

 

BufferedReader 을 쓰는 방식이다.

 

readLine() 을 통해 입력 받아 연산하는 방법 두 가지를 설명할 것이다.

앞서 말했듯이 readLine() 은 한 행을 전부 읽기 때문에 공백단위로 입력해 준 문자열을 공백단위로 분리해주어야 문제를 풀 수 있을 것이다.

 

문자열 분리 방법 두 가지로 풀어보자.

  1. StringTokenizer 클래스를 이용하여 분리해주는 방법
  2. split() 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반드시 자료형 타입을 잘 보아야 한다.

st.nextToken() 은 문자열을 반환하니 Integer.parseInt()로 int 형으로 변환시켜준다.

(double 형으로 풀면 나머지가 정수로 나와도 소수점까지 같이 출력되어 오답으로 처리된다.)

 

// 방법 2-1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 str = br.readLine();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str," ");
		int A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B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C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ystem.out.println( (A+B)%C );
		System.out.println( (A%C + B%C)%C );
		System.out.println( (A*B)%C );
		System.out.println( (A%C * B%C)%C );
	
/*    
굳이 String 변수 생성 안하고 입력과 동시에 구분자로 분리해줘도 된다.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int A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B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C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ystem.out.println( (A+B)%C );
		System.out.println( (A%C + B%C)%C );
		System.out.println( (A*B)%C );
		System.out.println( (A%C * B%C)%C );
*/
	}
}

 

 

 

 

두 번째 방법은 br.readLine() 을 통해 읽어온 것을 split(" ") 하여 공백 단위로 나눠준 뒤 String 배열에 각각 저장하는 방법이다.

 

 

// 방법 2-2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 str = br.readLine().split(" ");
		int A = Integer.parseInt(str[0]);
		int B = Integer.parseInt(str[1]);
		int C = Integer.parseInt(str[2]);
        
		System.out.println( (A+B)%C );
		System.out.println( (A%C + B%C)%C );
		System.out.println( (A*B)%C );
		System.out.println( (A%C * B%C)%C );

	}

}

 

 

 

 

 




  • 그 외 방법

 

필자는 시간 단축 (성능 개선)을 매우 좋아하는지라 필자가 사용한 방법이다.

 

 

BufferedReader + StringBuild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int A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B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C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b.append( (A+B)%C );
		sb.append('\n');

		sb.append( (A%C + B%C)%C );
		sb.append('\n');

		sb.append( (A*B)%C );
		sb.append('\n');

		sb.append( (A%C * B%C)%C );

		System.out.println(sb);

	}
}


 

 




BufferedReader + BufferedWrit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int A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B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C = Integer.parseInt(st.nextToke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bw.write( ((A+B)%C) + "\n" );
		bw.write( ((A%C + B%C)%C) + "\n" );
		bw.write( ((A*B)%C) + "\n" );
		bw.write( ((A%C * B%C)%C) + "\n" );

		bw.flush();
		bw.close();

	}
}



 

 

 




  • 성능 차이

 



위에서 부터 순서대로

 

채점 번호 : 17530320  -  BufferedReader + StringTokenizer +BufferedWriter 사용

채점 번호 : 17530311  -  BufferedReader + StringTokenizer + StringBuilder  사용

채점 번호 : 17530304  -  BufferedReader + String.split +  System.out.println() 사용

채점 번호 : 17530297  -  BufferedReader + StringTokenizer + System.out.println() 사용

채점 번호 : 17530285  -  Scanner + System.out.println() 사용

 

 

시간을 보면 BufferedReader 와 Scanner 의 성능차이가 확연하게 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아직까진 출력이나 문자열 분리에서 성능차이가 눈에 보이지는 않는다.

 

아직까진 그냥 이런 방법들도 있구나~ 하면서 익혀두었으면 한다.

 

 

 

 




  • 정리

 

문제는 간단했지만 모듈러 연산의 두가지 속성에 대해 알아두었으면 좋겠다 싶어 글이 길어졌다.

 

모듈러 연산은 암호시스템에서 사용 될 때가 있으므로 익혀둬서 나쁠 것은 없지 않은가.

모르는 부분이나 증명에서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JAVA - 백준 [BAEK JOON] > 입출력과 사칙연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5083번 : 새싹 - JAVA [자바]  (2) 2022.05.07
[백준] 2588번 : 곱셈 - JAVA [자바]  (15) 2020.02.09
[백준] 10869번 : 사칙연산 - JAVA [자바]  (8) 2020.02.08
[백준] 1008번 : A/B - JAVA [자바]  (0) 2020.02.08
[백준] 10998번 : A×B - JAVA [자바]  (0) 2020.02.07

댓글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백준] 25083번 : 새싹 - JAVA [자바]

    [백준] 25083번 : 새싹 - JAVA [자바]

    2022.05.07
  • [백준] 2588번 : 곱셈 - JAVA [자바]

    [백준] 2588번 : 곱셈 - JAVA [자바]

    2020.02.09
  • [백준] 10869번 : 사칙연산 - JAVA [자바]

    [백준] 10869번 : 사칙연산 - JAVA [자바]

    2020.02.08
  • [백준] 1008번 : A/B - JAVA [자바]

    [백준] 1008번 : A/B - JAVA [자바]

    2020.02.08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Stranger's LAB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Stranger's LAB

  • Stranger's LAB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나의 외부 링크

  • st-github

공지사항

  • 공지 - 블로그 사용 설명서

메뉴

  • 홈
  • 방명록

카테고리

  • 전체 카테고리 (267)
    • Java (5)
    • JAVA - 백준 [BAEK JOON] (177)
      • 입출력과 사칙연산 (14)
      • 조건문 (7)
      • 반복문 (11)
      • 1차원 배열 (7)
      • 함수 (3)
      • 문자열 (10)
      • 기본 수학 1 (8)
      • 기본 수학 2 (6)
      • 2차원 배열 (0)
      • 정렬 (10)
      • 재귀 (4)
      • 브루트 포스 (5)
      • 집합과 맵 (0)
      • 기하 1 (5)
      • 정수론 및 조합론 (12)
      • 백트래킹 (8)
      • 동적 계획법 1 (15)
      • 누적 합 (0)
      • 그리디 알고리즘 (5)
      • 스택 (5)
      • 큐, 덱 (7)
      • 분할 정복 (9)
      • 이분 탐색 (7)
      • 기타 문제 (17)
      • 별 찍기 문제 모음 (2)
    • C++ - 백준 [BAEK JOON] (46)
      • 입출력과 사칙연산 (14)
      • 조건문 (7)
      • 반복문 (11)
      • 1차원 배열 (7)
      • 함수 (3)
      • 문자열 (0)
      • 기타 문제 (4)
    • 자료구조 (18)
      • Java (18)
    • 알고리즘 (11)
      • Java (11)
    • 프로그래밍 기초 (6)
    • 이모저모 (2)
    • 일상의 글 (2)

최근 글

정보

ST_의 Stranger's LAB

Stranger's LAB

ST_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네이버 이웃 맺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Copyright © ST_.

티스토리툴바